설계
-
22년 4월 24일 3학년 공공주거 프로젝트 회의 복기&나아가야 할 방향설계 2022. 4. 25. 16:15
3학년 기말 프로젝트는 공공주거다. 3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트리엔날레 덕분에 3인 1조의 팀으로 움직이게 되었으며 팀을 구성하는 것보다 순탄치 않았다. 언제나 그랬듯 팀플이라 함은 누군가는 짊어져야 하는 일이 생기고, 누군가는 포기해야 할 일도 생기고, 누군가는 마이웨이를 가는 등 총체적 난국일 것이다. 그 전에도 많은 회의를 했지만, 오늘 알바가기 전 회의를 한 결과, 이쯤에서 생각을 다듬을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 글을 쓴다. 본의 아니게 설계 할때마다 팀장 역할을 맡아 왔지만, 오늘만큼 팀원들의 의견을 조율하는 게 힘들었던 적은 없는 것 같다. 그동안의 설계 팀플은 설계실에서 항상 살았던 탓일까, 아님 서로를 너무나도 잘 알고있었던 탓일까, 회의가 찝찝하게 끝나지는 않았었다. 그런데, 이번 팀플은 ..
-
국민대학교 3학년 1학기 근린생활시설 [Commune for play]설계 2022. 4. 10. 01:24
복학한 뒤 처음으로 진행한 프로젝트였다. 전역하고 스케치업을 익혔었는데 콘타파일이 라이노여서 어쩔 수 없이 라이노 진행하였다. 다행이도 몸이 기억하는지 크게 어려움없이 모델링을 할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근린생활시설로 사이트는 대학로 일대였다. 지하1,2층에는 200석 규모의 공연장이 필수였고 1~4층은 상업 및 업무시설, 5층에는 주거시설이 들어서야 했다. 실제로 지어지기에는 다소 어려운 프로젝트지만 학부생때만이 할 수 있는 아카데믹한 프로젝트라 생각한다. 사람들마다 설계 스타일이 다르겠지만, 나는 사이트 분석에서 굉장히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편이고, 그 과정에서 발견한 무언가를 가지고 더 깊게 파고든다. 예를 들어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대학로의 젠트리피케이션을 파고들었다.(젠트리피케이션이란 쉽게..
-
2022년 3월 20일 [대학로 근린생활시설] 관련 인터뷰 복기설계 2022. 3. 21. 02:46
3학년 1학기 첫 프로젝트로 대학로에 근린생활시설을 설계하게 되었다. 지하 1,2층엔 200석 규모의 공연장과 함께 지상엔 상업, 업무시설. 5층엔 주거시설까지 넣어야 하는 다소 현실성 없는 아카데믹한 프로젝트지만 배움의 과정에 있는 학생만의 특혜라 생각한다. 하지만 보통 8주간 진행하게 되는 프로젝트가 아닌 6주간 진행해야 하는 프로젝트이기에 다소 생각을 구체화시키는데 시간이 없었다. 그러다가 주말 알바를 새로 구하게 되었는데 우연히 그곳에서 연기를 전공으로 하는 사람을 알게 되었다. 나의 생각을 구체화시키는데에는 현업의 종사자의 이견이 필요했고 때마침 나타난 그사람에게 인터뷰를 청했다. 그사람은 흔쾌히 수락했고, 1시간 정도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는 나의 생각을 구체화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건축에..